모더니즘 4

모더니즘

책이름 : 모더니즘지은이 : 유현준펴낸곳 : 美세움 나에게 건축가 유현준(1969- )의 여섯 권 째 책이었다. 2008. 4. 15. 1판1쇄로 저자의 첫 번째 저서였다. 부제가 ‘동서양 문화의 하이브리드’로 모더니즘 건축의 유전적 계보를 추적했다. 건축이나 디자인에서 새로운 것의 창조는 새로운 각도의 시각에서 출발한다. 동서양 건축문화를 비교, 분석한 건축학이었다. 건축가에게 모더니즘은 동양문화가 서양에 유입되면서 발생한 문화적 하이브리드였다.책은 서론 4편, 두 개의 다른 세계 7편, 두 개 평행선의 만남 5편, 근대건축 거장들의 공간분석 2편, 현대건축 거장들의 공간분석 2편, 결론으로 구성되었다. ‖서론‖ 한 나라 민족문화의 결정체는 건축물로, 건축만이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보이드Voie..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모더니즘 편

책이름 :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모더니즘 편지은이 : 진중권펴낸곳 : 휴머니스트 미술사학의 중요 논문과 저작을 중심으로 19세기까지의 미술사를 요약한 ‘고전예술 편’. 사실주의에서 후기 인상주의에 이르기까지 19세기 중후반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운동의 여러 흐름을 살펴 본 ‘인상주의 편’. ‘모더니즘 편은 '예술가 진술artist statement' 즉 예술가들의 강령과 선언을 중심으로 아방가르드 예술의 본질을 추적했다. 한스 제들마이어는 현대예술의 ‘근원 현상’으로 ‘순수성의 추구, 기술적 구축, 광기의 탐닉, 근원의 탐색’ 네 가지를 꼽았다.야수주의 20세기 최초의 예술운동, 색채의 해방. 마티스(Manri Matisse, 1869-1954) 외부의 ‘재현’보다 내면의 ‘표현’을 중시. 〈붉은 조화〉 1..

모노크롬monochrome

한때 나는 미술평론가 이주헌의 책 전부를 손에 넣었다. 고교시절 수업이 끝나면 밤늦게까지 미술실에서 데생을 그렸다. 고교입학 후 첫 미술시간 새로 오신 선생은 스케치북에 마티스의 〈금붕어〉를 그리게 했다.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그 시절 나는 그림을 곧잘 그렸다. 미술부로 스카우트되어 학교 대표로 각종 회화대회에 참가했다. 자연스럽게 나는 화가를 꿈꾸었다. 미술선생이 다른 학교로 떠났고, 나의 캔버스에 대한 열정도 시들해져 목탄을 손에서 놓았다. 나이가 들고 아쉬움을 미술대중서로 달래고 있는지 모르겠다.내가 모노크롬 도판을 처음 접한 책은 20여 년 전 『산정묘지』의 시인 조정권의 예술기행산문집 『하늘에 닿는 손길』(문학동네, 1994)을 통해서였다. 시인은 1977년부터 1983년까지 예술종합지 의 ..

서양미술사 Ⅰ

책이름 : 서양미술사 1 지은이 : 진중권 펴낸곳 : 휴머니스트 1.아름다운 비례를 찾아서 - 에르빈 파노프스키 ; 예술적 묘사의 대상이 되는 한에서 살아있는 생물, 특히 인간 실체의 비례관계에 관한 이론(비례론) 2.색과 빛의 황홀경 - 로사리오 아순토 ; 어떤 의미에서 ‘실재(reality)'란 합의된 세계인지도 모른다. 3.자연을 내다보는 창문 -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 “아름다운 창안은 그림으로 그려지기 이전 상태의 창안 자체만으로도 아름답다.” 4.상징 형식으로서의 원근법 - 에르빈 파노프스키 ; 원근법을 ‘과학적’ 재현 방법으로 절대화하지 않고 세계를 표상하는 ‘철학적’ 상징 형식으로 상대화 5.물구나무 선 원근법 - L. F. 셰긴 ; 다시점을 도입하여 움직이는 지각을 표현하는 것이야말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