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래부 2

제비는 푸른 하늘 다 구경하고 - 둘

책이름 : 제비는 푸른 하늘 다 구경하고 둘지은이 : 김훈․박래부펴낸곳 : 따뜻한손 「문학기행」은 언론 문학비평의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획기적인 기획이었다. 신문 연재 때부터 장안의 화제를 모은 현장비평서였다. 당시 문화부장으로 연재를 기획했던 장영수는 말했다. “우리가 마침내 만들어냈던 이 나라의 문학지도―그것은 미숙한 미완성의 지도지만, 우리의 치열했던 작업에 대한 사적인 그리움을 뛰어넘는 지도다.” “우리에게 문학기행 길을 안내했던 시인․소설가 가운데 3분의 1 가량이 그만 유명을 달리했다.” 박래부의 말이다. 그리고 세월은 다시 20년이 흘렀다. 한 분씩 손으로 꼽아보니 스물일곱 분이 고인이 되셨다.서정주(1915-2000)의 『질마재 신화』(시집), 가난 속에서 힘든 삶을 살아가지만 결코 비천할..

제비는 푸른 하늘 다 구경하고 - 하나

책이름 : 제비는 푸른 하늘 다 구경하고 - 하나지은이 : 김훈․박래부펴낸곳 : 따뜻한손 소설가 김훈(金薰, 1948- ), 한국일보논설위원 박래부(朴來富, 1951- )는 1980년대 중반 한국일보 문화부기자였다. 당시 장명수 문화부장 지휘아래 「문학기행」을 연재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소설․시를 선별하여 현장을 답사하고 비평한 글들이었다. 절판된 책을 후배기자였던 이가 운영하는 신생 출판사 《따뜻한손》에서 재출간했다. 내가 다시 잡은 책은 2004년 12월 초판본이었다. 문학평론가 박철화는 해설 「아름다움이라는 마약―198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에서 “「문학기행」은 저 엄혹한 80년대를 말의 사랑으로 끌어안으며, 현실 앞에 절망하지 말 것을 요청하는, 아름다움은 결국 존재하는 것임을 증명하는 한 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