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미술 4

옛 그림으로 본 조선 ③ - 경기ㆍ충청ㆍ전라ㆍ경상

책이름 : 옛 그림으로 본 조선 ③ - 경기ㆍ충청ㆍ전라ㆍ경상지은이 : 최열펴낸곳 : 혜화1117 미술평론가 최열(崔烈, 1956- )하면 나는 80년대 민중미술을 떠올렸다. 그는 91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수감ㆍ구속되었다. 88년 결성한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을 스스로 해체했다. 그는 미술사를 독학했다. 미술사학자는 30여년을 조선후기 실경산수화에 매달렸다. 옛 그림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갔고, 마음과 눈에 갈무리했다.『옛 그림으로 본 조선』 시리즈 세 권을 펼치는 즐거움은 압도적인 옛 그림에 있었다. 책 판형을 키웠고, 고급 종이에 인쇄한 그림은 선명했다. 세부도를 적극적으로 배치하여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셋째 권의 부제는 ‘과연 조선은 아름다운 실경의 나라’였다. 임진강 이남의 우리 국토..

80년대 美術의 現場과 作家들

책이름 : 80년대 美術의 現場과 作家들지은이 : 유홍준펴낸곳 : 열화당 현실과발언, 임술년, 삶의 미술, 시대정신, 20대 힘······. 80년대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은 민중미술 진영에 일대 탄압을 가했다. 전시장을 폐쇄하고 미술인을 연행했다. 미술인들은 〈민족미술협의회〉를 창립했다. 민미협 초대회장은 미술평론가 유홍준이었다. 그의 첫 저서는 80년대 민중미술을 비평가적 입장에서 증언한 『80년대 미술의 현장과 작가들』이었다. 초판은 1987. 1. 15.에 출간되었고, 내가 잡은 책은 3쇄로 1994. 2. 10.에 나왔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이 나온 해가 1993년이었다. 나의 편집증적 강박증은 유. 홍. 준. 이름 석자가 들어간 책은 무조건 손에 넣었다. 그 시절, 저자가 옮긴 책으로 『..

민중미술 박진화 화백을 아십니까 - 2

위 이미지는 스무날 전 오후 2시30분경에 잡은 이미지입니다. 삼보6호 2항차로 볼음도에 닿았습니다. 화백의 작업실 주변은 여느 때나 다름없이 고적했습니다. 출입문 손잡이를 돌리자 기다렸다는 듯 클래식이 흘러나왔습니다. 현관 칸막이에 막혀 실내의 동향을 알 수 없었습니다. 화백은 오늘도 산책을 나선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조심스럽게 발소리를 죽이며 칸막이를 돌아섰습니다. 캔버스를 두 손으로 들고 벽으로 다가서는 화백의 뒷모습이 보였습니다. 나는 소리 없이 한 컷 이미지를 담았습니다. 칸막이를 손바닥으로 두서너 번 가볍게 내리치자 예의 악동 웃음을 지으며 화백이 뒤돌아섰습니다.불을 밝힌 풍로가 놓인 소파에 나란히 앉았습니다. 화백은 머그컵에 약초달인 물을 가득 부어 내 앞에 내놓았습니다. 나는 연초 뉴욕의 ..

생각하는 그림들

책이름 : 생각하는 그림들 정 / 생각하는 그림들 오늘 지은이 : 이주헌 펴낸곳 : 예담 내가 이주헌을 처음 만난 것은 학고재 신서를 통해서였다. 언제인가 말햇듯 나는 출판사 중 학고재를 가장 신뢰한다. 신서 1 고 최순우의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를 잡고부터였다. 학고재 신서가 출간되면 내용이나 저자를 불문하고 무조건 구입했다. 인연이 되려는 지 신서 3, 4로 미술평론가 이주헌의 '50일간의 유럽미술관 체험 1, 2'가 나의 손에 들려졌다. 그 뒤로 나는 서양 미술의 자상한 길잡이의 애정어린 손길을 쫒아 한걸음 두걸음 뒤뚱거리는 발걸음으로 그 길을 따라갔다. 그 길에서 만난 책들이 그 유명한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와 아르놀트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등 이었다. 그러고보니 나는 미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