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대 5

라흐 뒤 프루콩 드 네주 말하자면 눈송이의 예술

책이름 : 라흐 뒤 프루콩 드 네주 말하자면 눈송이의 예술지은이 : 박정대펴낸곳 : 민음사 2018년 늦봄, 나는 시인 박. 정. 대.를 알았다. 재출간전문출판사 〈최측의농간〉의 예약판매 시집 『아무르 기타』를 통해서였다. 시인은 시단에서 ‘혁명적 낭만주의자’로 불리었다. 마음이 급해졌다. 읍내 유일의 서점에 시인이 펴낸 시집 전부를 주문했다. 품절과 절판된 시집을 제외한 네 권이 손에 들렸다.  『내 청춘의 격렬비열도엔 아직도 음악 같은 눈이 내리지』(민음사, 2001) / 『삶이라는 직업』(문학과지성사, 2011) / 『모든 가능성의 거리』(문예중앙, 2011) /『그녀에서 영원까지』(문학동네, 2016) 5년여의 세월이 흘렀고, 시인의 열 번째 시집이 〈민음의시 293〉으로 출간되었다. 내 책장의 ..

그녀에서 영원까지

책이름 : 그녀에서 영원까지지은이 : 박정대펴낸곳 : 문학동네 『내 청춘의 격렬비열도엔 아직도 음악 같은 눈이 내리지』(민음사, 2001) / 『모든 가능성의 거리』(문예중앙, 2011) / 『삶이라는 직업』(문학과지성사, 2011) / 『그녀에서 영원까지』(문학동네, 2016) 시인을 ‘혁명적 낭만주의자’라 부르는 글을 읽었다. 20대 후반 젊은 시절 한때, 나는 스스로를 그렇게 규정했다. 시골 소읍의 서점에 시인의 시집 전부를 주문했다. 네 권의 시집과 인연이 닿았다. 출간 순서대로 시집을 잡았다. 마지막 시집이었다. 시인의 여덟 번째 시집은 43편의 시가 담겼다. 시집 말미에 발문으로 장드파(시인)의 「Pak Jeong-de Pēche de Paris - 파리에서의 박정대 낚시」와 해설 박정대(시인..

삶이라는 직업

책이름 : 삶이라는 직업지은이 : 박정대펴낸곳 : 문학과지성사 마음이 급해졌다. 시단에서 ‘혁명적 낭만주의자’라 불리는 시인을 발견했다. 시인이 그동안 펴낸 8권의 시집을 시골 소읍의 유일한 서점에 주문했다. 재출간을 기다리거나, 품절이라는 딱지가 붙은 시집을 뺀 네 권의 시집을 손에 넣은 것이 재작년 초겨울이었다. 『내 청춘의 격렬비열도엔 아직도 음악 같은 눈이 내리지』(민음사, 2001) / 『모든 가능성의 거리』(문예중앙, 2011) / 『삶이라는 직업』(문학과지성사, 2011) / 『그녀에서 영원까지』(문학동네, 2016) 출간 순서대로 시집을 잡았다. 세 번째 시집이었다. 「언제나 무엇인가 남아 있다」(51 ~ 62쪽)의 12연은, 시집 제목을 체 게바라 만세로 하자고 했더니 사람들이 웃었다, ..

모든 가능성의 거리

책이름 : 모든 가능성의 거리지은이 : 박정대펴낸곳 : 문예중앙 2011. 5. 30. 한 시인의 시집 두 권이 동시에 출간되었다. 『모든 가능성의 거리』(문예중앙)와 『삶이라는 직업』은 시인의 다섯, 여섯 번째 시집이었다. ‘한국 시의 낭만주의적 정신을 가장 잘 구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시인답게 4년 만에 한꺼번에 나온 두 권 시집의 낭만주의는 여전했고 매혹적이었다. 천사의 날개를 단 기타가 그려진 표지를 열었다. 「시인의 말」의 전문이다. 그녀에서 영원까지 나는 걷는다 / 나의 센티멘털, 나의 디베르티멘토!모든 가능성의 거리에 별들이 빛난다 / 나는 저 별들로부터 얼마나 먼가 시집의 표제 『모든 가능성의 거리』가 「아자니 거리의 모든 가능성」(62 ~ 76쪽)의 한 연이었다. 시인의 여덟 번째 ..

내 청춘의 격렬비열도엔 아직도 음악 같은 눈이 내리지

책이름 : 내 청춘의 격렬비열도엔 아직도 음악 같은 눈이 내리지지은이 : 박정대펴낸곳 : 민음사 『단편들』(세계사, 1997) / 『내 청춘의 격렬비열도엔 아직도 음악 같은 눈이 내리지』(민음사, 2001) / 『아무르 기타』(문학사상, 2004;최측의농간, 2018) / 『사랑과 열병의 화학적 근원』(뿔, 2007) / 『삶이라는 직업』(문학과지성사, 2011) / 『모든 가능성의 거리』(문예중앙, 2011) / 『체 게바라 만세』(실천문학사, 2014) / 『그녀에서 영원까지』(문학동네, 2016) 박. 정. 대. 8권의 시집을 상재한 시인을 나는 몰랐다. 재출간전문출판사 〈최측의농간〉이 예약판매하는 시집을 보고 알았다. 시인은 시단의 ‘혁명적 낭만주의자’로 불리었다. 마음이 급해졌다. 읍내의 유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