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름 :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지은이 : 이왕주
펴낸곳 : 효형출판
글머리의 영화 제목은 국내 개봉 당시의 제목, 영화의 원제, 감독, 제작국, 제작년도 순이다. 트루먼 쇼 / The Truman Show / 피터 위어 감독 / 미국 / 1998년. 자기도 모르게 일거수일투족을 감시당하며 온 세상에 노출되는 삶을 살아가는 트루먼을 그린. 프랑스 포스트모던 철학자 들뢰즈Gilles Deleuze에 따르면, 카메라로 상징되는 다양한 검열의 코드 바깥으로 나서는 탈영토화의 주체, 유목민 만이 자유로운 삶의 주체라고.
슈렉 / Shrek / 앤드류 애덤슨ㆍ비키 젠슨 감독 / 미국 / 2001년. 애니메이션 영화 〈슈렉〉은 최초로 동화의 ‘바깥’ 삶을 보여준. 철학자 칸트Immanuel Kant는 대상을 미학적으로 판단하는데 숭고함이라는 범주를 끌어들여 미학의 역사에 획기적인 새 장을 여는. 집으로... / 이정향 감독 / 한국 / 2002년. 할머니의 침묵 속의 사랑이 손자의 배려의 마음을 깨우쳐주는. 구조주의 정신분석학자 라캉Jacques Lacan에 따르면 아버지는 유아가 성장을 위해 받아들여야 할 새로운 단계의 모든 것.
동사서독 / 東邪西毒 / 왕자웨이 감독 / 홍콩 / 1994년. 위악은 놓쳐버린 사랑에 대한 자기 응징이라는 맥락에서만 이해. 철학자 베르그송Henri Bergson에 의하면 표층자아는 외부의 시선이나 자신의 욕망에 의해 고정시켜 놓거나 박제시켜 놓은 자아. 존 말코비치 되기 / Being John Malkovich / 스파이크 존즈 감독 / 미국 / 1999년. 크레이그처럼 어리석은 욕망에 부대끼며 삶을 낭비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비판철학자 칸트는 바라보이는 대상으로 머물지는 않는 자아가 곧 의식의 자기정체성으로 이것이 ‘순수 자아’.
매트릭스 / The Matrix / 앤디 워쇼스키ㆍ래리 워쇼스키 감독 / 미국 / 1999년. 선택, 믿음, 사랑을 통해 자신을 어떤 존재로 만들어가며 실존하는. 철학자 사르트르Jean-Paul Sartre에 의하면 저 스스로 자신을 선택하고 만들어나가는 존재는 대자존재對自存在. 디 아더스 / The Others /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감독 / 미국, 프랑스, 스페인 / 2001년. 이승과 저승을 바꿔어 동일자와 타자의 위치를 전복시킨. 프랑스 사회학자 브르디외Pierre Bourdieu는 익숙한 세계 쪽으로 타성적으로 퇴각하는 몸의 독특한 성향을 ‘아비튀스habitus'라고 불러.
굿 윌 헌팅 / Good Will Hunting / 구스 반 산트 감독 / 미국 / 1997년. 어릴 적 트라우마를 이겨내지 못해 문제아로 살던 수학천재 윌 헌팅의 구원. ‘우리를 유혹하는 세상의 온갖 현란한 사물들로부터 한 걸음 물러나 영혼의 내면에서 들려오는 희미한 외침에도 한 번은 진지하게 귀를 기울여’(105쪽). 피아노 / The Piano / 제인 캠피온 감독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프랑스 / 1993년. 피아노라는 메타포로 사랑에 대한 독특한 정의를 시도.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은 존재 지향의 인간과 소유 지향의 인간으로 구분.
쉬핑 뉴스 / The Shipping News / 라세 할스트롬 감독 / 미국, 캐나다 / 2001년. 힘든 과거의 상처로 극심한 고통을 당하는 코일이 무기력함을 떨쳐내는. 공자는 『논어』에서 사람 노릇을 제대로 하는 길은 망집을 끊는 일에서 시작된다고 지적. 중경삼림 / 重慶森林 / 왕자웨이 감독 / 홍콩 / 1994년. 과거와 미래를 망각하고 현재를 사랑하는 능력을 체득. 니체Friedrich W. Nietzsche는 과거에만 집착하거나 미래에만 매달리는 몽유인을 ‘역사적 인간’으로 명명.
나비 / 문승욱 감독 / 한국 / 2001년. 지금 내가 대지를 디디고 선 시간이 삶의 시간. 니체는 기억에 매달려 역사가 과잉되면 인간은 인간이기를 멈춘다고 경고. 뷰티풀 마인드 / A Beautiful Mind / 론 하워드 감독 / 미국 / 2001년. 피해망상으로 정신병원에 강제이송된 수학자 존 내시가 수학 하나로 소통의 끈을 이어나가는. 영국 경험론 철학자 존 로크 John Locke는 색깔, 소리, 맛, 냄새 등은 나와 사물이 함께 만들어내는 감각내용.
와호장룡 / 臥虎藏龍 / 리안 감독 / 타이완, 홍콩, 미국, 중국 / 2000년. 인간으로서 자신의 삶에 정직하고 충실하게 살아가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철학자 노자老子는 『도덕경』에서 “유위는 무위를 누르지 못하고, 억지스러움은 자연스러움 앞에서 오래 비티지 못한다.” 간장선생 / かソゾ先生 /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 / 일본, 프랑스 / 1998년. 멋진 은유로 별다른 스펙터클 없이 진한 감동을 주는. 수잔 손택은 구체적인 몸과 병원균과의 관계를 떠나 질병을 논하는 것을 격렬하게 비난.
북경 자전거 / 十七歲的單車 / 왕샤오솨이 감독 / 타이완, 중국 / 2001년. 자본의 힘에 가파른 속도로 산업화되어 가는 중국 사회에 대한 젊은이들의 상반된 적응방식을 전형화. 에리히 프롬에 따르면 농경사회가 산업사회로 변화해가고 물물교환이 화폐경제로 탈바꿈하면서 소유와 존재가 불화. 메멘토 / Memento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 미국 / 2000년. 기억상실증 환자 레너드의 아내살해범 추적기. 철학자 니체는 기억이 오직 과거의 잡동사니들로 채워진 국가는 결코 건강할 수도 행복할 수도 없는.
친절한 금자씨 / 박찬욱 감독 / 한국 / 2005년. 자지 자신을 지키고자 복수에 매달린 존재의 투쟁. 들뢰즈, 가타리에 따르면 유목민이 거부하는 삶은 땅에 한 번 뿌리를 박은 채 영원히 고정되는 나무같은 삶. 쉘 위 댄스? / Shall We ダンス / 수오 마사유키 감독 / 일본 / 1996년. 춤 자체를 사랑해서 춤을 추었던 스기야마. 니체가 춤을 예찬한 이유는 육체와 대지를 긍정하는 위대한 의식儀式이기 때문.
빌리 엘리어트 / Billy Elliot / 스티븐 달드리 감독 / 영국 / 2000년.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춤으로 담아낸 어린 소년. 철학자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있음’과 ‘있는 것’의 차이가 세상의 모든 차이 중에서도 가장 근본적이고 가장 확실한 차이. 타인의 취향 / Le Goût des Autres / 아네스 자우이 감독 /프랑스 / 1999년. 세상의 많은 갈등과 분쟁은 타인의 취향을 인정하지 못하는데서 야기. 공자가 말하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은 타자와 조화를 이루려는 삶의 태도.
흐르는 강물처럼 / A River Runs Through Il / 로버트 레드퍼드 감독 / 미국 / 1992년. 아름다움은 감상자의 주관에 달려있다. 철학자 파이어벤트Paul Feyerabent는 따르면 예술은 이미 만들어지고 틀지워진 것에 거부하는 저항정신에서 태어나. 일 포스티노 / Il Postino / 마이클 레드퍼드 감독 /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 1994년. 순박한 시골청년 우체부 마리오가 망명중인 시인 네루다를 만나면서 성숙한 의식으로 성장해가는. 철학자 헤겔G. W. F. Hegel은 하나의 정신이 무의식에서 절대자의 위치까지 이르게 되는지를 ‘변증법dialectic'이라는 논리로 보여주는.
오! 형제여 어디에 있는가? / O Brother, Where Art Thou? / 조엘 코엔 감독 / 영국, 프랑스, 미국 / 2000년. 영웅들은 큰 그림의 액자 안에서 상황과 맞서고 과정을 향유. 탈옥수들이 철길에서 만난 눈먼 노인은 “인생에는 모험 끝에 얻게 되는 보물같은 것은 없다. 그 편력의 엄청난 과정에서 다채롭고 아름다워지는 삶 밖에는”. 파인딩 포레스터 / Finding Forrester / 구스 반 산트 감독 / 미국 / 2000년. 미래의 꿈과 희망과 포부로 이끌어주는 힘(아버지) 찾아가는 자말의 방황. ‘아버지’의 유산과 혈통을 이어나가는 영혼의 성장에 관한 기록.
여인의 향기 / Scent of a Woman / 마틴 브레스트 감독 / 미국 / 1992년. 고교3년 아르바이트생 찰리와 맹인 퇴역장교 프랭크의 좌충우동 언어게임.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은 언어게임의 규칙은 참여자들의 고유한 ‘삶의 양식’을 반영. 오아시스 / 이창동 감독 / 한국 / 2002년. 세상의 인습에 좌절하지 않는 행동주의자. ‘근원적인 폭력은 세상 안에 살아가는 특정한 인간들의 사악함에서 생겨나는게 아니라 세상 자체의 구조에서 생겨난다.’(320쪽)
사랑에 관한 짦은 필름 / Krötki film o milosci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 폴란드 / 1988년. 실재론적 정의에 집착하는 토맥은 삶의 당대성의 조건 안에서 비극적일 수밖에. 하버마스 Jürgan Habermas는 의사소통 공동체에서 의미를 추론하는데 발화의 양식과 맥락의 특성을 과감히 끌어들여. 좋은 걸 어떡해 / Dieu est grand, Je suis toute petite / 파스칼 바일리 감독 / 프랑스 / 2001년. 평범한 정의가 사랑에 대한 간곡한 진실을 더 많이 담고 있는. 자사子思는 『중용』에서 말하기를, “성실은 하늘의 길이고 성실해지려는 것은 인간의 길”
'책을 되새김질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록의 어두운 부분 (2) | 2025.01.24 |
---|---|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7) | 2025.01.23 |
구수한 큰맛 (10) | 2025.01.20 |
우리를 세상의 끝으로 (8) | 2025.01.17 |
가르강튀아|팡타그뤼엘 (1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