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름 : 自給을 다시 생각한다
엮은이 : 야마자키농업연구소
옮긴이 : 최연희·황대권·김형수
펴낸곳 : 녹색평론사
니시카와 준 - 세계경제 식량가격 상승이 일본 농업에 미치는 영향
세키 히로노 - 엘리트의 세계무역 논리와 민중의 자급의 논리
요시다 타로 - 탈(脫) 석유시대의 자급
나카지마 기이치 - 식량과 농업과 자연을 잇는 유기농업론
우네 유타카 - 원리주의로서 자급의 근대화에 대한 저항
유키 도미오 - 자급을 지탱하는 인간을 바라보는 시점
구리타 가즈노리 - 산촌생활의 즐거움과 창조적 자급론
사오미 나오키 - 농적(農的), 자급적 감성으로 미래를 준비
야마모토 가즈코 - 절약형 소비에서 자급률 제고형 소비로
고이즈미 고로 - 지산지소(地産地消)가 자급의 구체적 실천
이 책은 야마자키농업연구소 연구원을 중심으로 사상사가, 민속연구가, 농림가 등 10명의 글 모음집이다. 여기서 일본 야마자키연구소는 바람직한 식량, 농업, 농촌, 환경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자 1974년에 설립된 회원제 연구소다. 오늘날 세계는 에너지·금융·식량의 위기가 최고조에 이르렀다. 실린 글들은 일본의 식량자급율은 39%라는 위기에 몰려 식량주권 - 국제시장에 좌우되지 않고 인민이 자신의 먹을거리나 농업방식을 스스로 정의하는 권리(54쪽)를 지키려는‘자급’에 대한 긴급한 성찰이었다.
이 책을 덮고 내 코가 석자인 것을 새삼스레 깨달았다. 이 땅의 식량자급율을 놀랍게도 23% 수준에 불과했다. 더군다나 쌀 자급율은 1990년 108.3%에서 작년 89%까지 떨어졌다. 3년 연속 80%대였다. 우리나라는 농가인구 327만명, 1인당 경지면적 0.5㏊, 농민연령 평균 59세로 식량자급율 제고에 매우 취약한 구조다. 식량자급율을 1% 올리는데 최소 연 2000억원 이상의 재정이 투자되어야한다. 그런데 정부는 올 6월까지 쌀 관세화( 수입 전면개방) 여부를 결정해 9월까지 WTO(세계무역기구)에 통보해야 한다. 불을 보듯 뻔한 일이 아닌가. 만약 쌀시장이 전면 개방되면 농민들은 급격한 작목 전환을 할 수밖에 없고 벼 재배면적은 급감하여 쌀 생산량은 곤두박질칠 것이다. 현재 매년 1만㏊이상 농지가 개발·전용되고 있는데 정부는 경제활성화를 이유로 농지규제 완화를 밀어붙이고 있다. 도대체 이 땅의 농민은 어디로 갈 것인가. 2008년 세계적 식량폭동이 남의 일 같지 않다. FTA 만이 국가가 살길이라며 부추키는 정부의 망국적인 농정은 이 땅 농민들을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 뜨렸다. 식량주권을 포기하고 세계 곡물 메이저의 먹이감으로 내던져지는 끔직한 현실이 눈앞에 닥쳤다. 327만명이 5000만명의 먹을거리를 대주었는데, 그나마 농사짖기를 관두라는 한국 정부는 도대체 누구의 나라인가.
'책을 되새김질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일본편 1 그리고 3 (0) | 2014.05.26 |
---|---|
무농약 유기 벼농사 (0) | 2014.05.22 |
바보 이반의 산 이야기 (0) | 2014.05.15 |
눈물은 왜 짠가 (0) | 2014.05.12 |
고양이의 마술 (0) | 201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