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되새김질하다

롤리타는 없다 2

대빈창 2024. 7. 10. 07:00

 

책이름 : 롤리타는 없다 2

지은이 : 이진숙

펴낸곳 : 민음사

 

‖욕망‖ 민낯의 원초적 욕망을 드러내는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Pierre Choderlos de Laclos, 1741-1803)의 『위험한 관계』. 두 남자 사이를 오가는 그네처럼 밀고 당기는 욕망의 게임 장 오노네 프라고나르(Jean Honoré Fragonard, 1732-1806)의 〈그네〉(1767).

즐거운 소풍이 범죄 현장으로 바뀐 도시의 욕망 에밀 졸라(Émile Zola, 1840-1902)의 『테레즈 라캥』. 새로 변화하는 현실에 따른 모더니티의 추구, 있는 그대로의 삶을 그리는 에두아르 마네(Édouard Manet, 1832-1883)의 〈풀밭 위의 식사〉(1863).

평범한 사람들의 내면에 숨겨진 적나라한 욕망을 다룬 아르투르 슈니츨러(Arthur Schnitzler, 1862-1931)의 『꿈의 노벨레』, 어두운 죄의 영역으로 추락한 에곤 실레(Egon Schiele, 1890-1918)의 〈추기경과 수녀〉(1912).

물질적인 욕망으로 순수한 사랑을 갈구하는, 부패할 수밖에 없는 인생 스콧 피츠제랄드(F. Scott Fitzgerald, 1896-1940)의 『위대한 캐츠비』.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소비하고 욕망하는 타마라 드 렘피카(Tamara de Lempicka, 1898-1980)의 〈초록색 부가티를 탄 자화상〉(1925).

팜파탈의 대표적인 인물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1854-1900)의 희곡 『살로메』. 현실의 팜파탈을 냉정하고 건조하게 그린 발렌티 세로브(Valentin Serov, 1865-1911)의 〈이다 두빈시테인의 초상화〉(1910).

중년남자의 소아성애를 다룬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 1899-1977)의 『롤리타』. 남성들의 리비도적인 욕망에 포획된 소녀를 그린 발튀스(Balthus, 1908-2001)의 〈꿈꾸는 테레즈〉(1938).

‖비애‖ 인간 비극의 원형이 담긴 소포클레스(Sophoklés, BC 496/5-BC 406)의 『오이디푸스왕』, 『콜로누이의 오이디푸왕』, 『안티고네』. 투명한 빨강은 가장 비극적인 색 마크 로스코(Mark Rothko, 1903-1970)의 〈무제〉(1970).

불확실성의 비극에 처한 인간들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1616)의 『햄릿』, 존 에버렛 밀레이(John Everett Millais, 1829-1896)의 〈오필리아〉(1851-1852).

사회적 인습과 통념의 부조리로 인한 파멸을 그린 토머스 하디(Thomas Hardy, 1840-1928)의 『테스』. 죄와 상처의 구조화를 보여준 홍경택(洪京澤, 1968- )의 〈서재 5〉(2005).

심각한 정신적 위기를 겪은 작가의 자전적 소설 요한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Johan August Strindberg, 1849-1912)의 『지옥』. 불안한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 에드바드 뭉크(Edvard Munch, 1863-1944)의 〈절규〉(1893).

세상은 어떤 합리적인 설명이 불가능한 부조리한 곳 사무엘 베케트(Samuel Barday Beckett, 1906-1989)의 『고도를 기다리며』. 고독을 영원한 것으로 만든 알베르토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 1901-1966)의 〈걸어가는 남자〉(1960).

‖역사‖트로이 전쟁의 원인이 되는 사건 호메로스(Homeros, BC 800?-BC 750년경)의 대서사시 『일리아스』, 페테르 폴 루벤스(Peter Paul Rubens, 1577-1640)의 〈파리스의 심판〉(1632-1635).

가장 인간적이고 감동적인 장면은 헥토르가 전투 중 잠시 아내 안드로마케와 어린 아들을 만나는 장면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조르조 데 기리코(Georgio de Chirico, 1888-1979)의 〈헥토르와 안드로마케〉(1912).

평범하고 작은 사람들의 소망과 웃음 프랑수아 라블레(François Rabelais, 1483?-1553)의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피터르 브뤼헐(Pieter Brueghel, 1525?-1569)의 〈사육제와 사순절의 싸움〉(1559).

가련하고 나약한 인간들이 세상을 올바르게 살아가는 방법 빅토르 위고(Victor Marie Hugo, 1802-1885)의 『레미제라블』. 1830년 7월 혁명을 기념하는 외젠 들라크루아(Eugéne Delacroix, 1798-1863)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1830).

남성위주 가치관 시대를 가출한 여자의 홀로서기 헨리크 요한 입센(Henrik Johan Ibsen, 1828-1906)의 희곡 『인형의 집』. 여성 화가의 누드 자화상 파울아 모더손 베커(Paula Modersohn Becker, 1876-1907)의 〈자화상〉(1906).

보통 사람들이 나치의 살상에 아무 죄의식 없이 가담한 ‘악의 평범성’ 베른하르트 슐링크(Bernherd Schlink, 1944- )의 『책 읽어주는 남자』,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 1932- )의 〈루디 삼촌〉(1965).

화가 박수근을 모델로 한 등단작 박완서(朴婉緖, 1931-2011)의 『나목』. 돌아가고 싶은 고향 풍경, 만나고 싶은 고향 사람들의 원형을 그린 박수근(朴壽根, 1914-1965)의 〈나무와 두 여인〉(1962).

미술평론가는 말했다. “좋은 삶, 인간적인 성숙을 위해서 나와 다른 누군가의 이야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들어 보고 생각해 보고 공감하고 때로는 반론을 제기하는 연습을, 우리는 고전을 통해서 해야 한다”고.

'책을 되새김질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상의 열차를 타고  (66) 2024.07.12
금강산  (65) 2024.07.11
롤리타는 없다 1  (73) 2024.07.09
따뜻한 흙  (59) 2024.07.05
엉클 텅스텐  (61) 2024.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