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름 : 감응의 건축
지은이 : 정기용
펴낸곳 : 현실문화
진도리마을회관 / 안성면 주민자치센터 / 적상면 주민자치센터 / 부남면 주민자치센터 / 무풍면 주민자치센터 / 공설운동장 / 무주군청 뒷마당 / 무주시장 / 청소년수련관 / 청소년문화의 집 / 곤충박물관과 자연학교 / 향토박물관 / 천문과학관 / 버스정류장 / 농민의 집(농업인회관) / 된장공장 / 전통문화공예촌(무주 만남의 광장) / 보건의료원 / 종합복지관 / 노인전문요양원(평화요양원) / 무주 추모의 집(무주공설납골당)
나에게 선생은 ‘인간의 얼굴을 한 건축가’이셨다. 건축가 정기용은 마치 피할 수 없는 사명감으로 1996년부터 2006년까지 만 10여 년 간 무주에서 30여 개 건축설계를 했다. 이름난 건축가들이 도시의 랜드마크를 지어 명예와 부를 한몫 잡으려 혈안이 된 천민자본만이 득세를 하는 이 땅에서 선생은 화려한 외관보다 공간과 그곳 사람들과의 관계에 주목한 윤리적 건축을 추구했다.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공공건축을 모두 주저하는 이때, 그는 실비도 안 나오는 경제적 손실을 무릎 쓰고 강산이 변한다는 세월동안 ‘무주 프로젝트’에 전심전력했다. 이 책은 건축물 평면도, 완공 전후 사진, 설계 전 스케치 등을 실어 무주 프로젝트의 전 과정을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게 풀어냈다.
“여보게 군수, 우리가 미쳤나! 군수만 본부석에서 비와 햇볕을 피해 앉아있고 우린 땡볕에 서 있으라고 하는 게 대체 무슨 경우인가. 우리가 무슨 벌 받을 일 있나? 우린 안 가네.”
군수가 주민들에게 공설운동장에서 행사가 있을 때 왜 참석하지 않느냐고 묻자, 어느 어르신의 대답이었다. 군수는 운동장 주변에 240여 그루의 등나무를 심었고, 선생은 등나무 집을 만들어 스탠드에 그늘을 드리우게 건축 설계했다. 세계에 단 하나뿐인 등나무운동장이 탄생한 것이다.
“봉고차를 빌려서 대전으로 간답니다.”
“면사무소는 뭐 하러 짓는가? 목욕탕이나 지어주지”
선생은 공중목욕탕이 딸린 안성면 주민자치센터를 완공했다. 평생을 뼈 빠지게 일만 했던 할머니·할아버지들에게 이런 공공서비스는 선생에게 최소한의 예의였다. 지금도 홀수 날은 남탕, 짝수 날은 여탕으로 잘 운영되고 있다.
이외에도 ‘영혼을 위한 밝은 집’인 무주 추모의 집, 서로 떨어진 부남면사무소와 복지회관을 기능적으로 연결시킨 천문대인 ‘별 보는 집’, 하찮은 기다림의 공간이 아니라 삶이 머무는 장소로 풍경을 끌어들인 버스정류장 등. 선생은 생전에 이렇게 말했다. “건축가로서 내가 한 일은 원래 거기 있었던 사람들의 요구를 공간으로 번역한 것이다.”라고.
나는 향년 66세로 너무 일찍 돌아가시던 해인 2011년에야 선생을 뒤늦게 알았다. 이 책은 ‘정기용 전집’의 세 번째 책이다. 「사람 건축 도시」, 「서울 이야기」, 「감응의 건축」, 「기적의 도서관」, 「기억의 풍경」, 「정기용 작품집」. 생태적 건축가, 사회적 건축가, 공간의 시인, 건축계의 공익요원, 감응의 건축가 등 사람과 자연이 교감하고 감응하는 건축에 평생을 받쳤던 선생은 지금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에 잠들어계시다. 작년 모란공원에 두 번 발걸음을 했지만 선생의 묘역을 찾지 못했다. 열사묘역만 들렀고 그 넓은 일반묘역에서 찾을 엄두를 내지 못했었다. 모란공원을 찾아 선생의 묘소에 국화 한 송이 받쳐야겠다.
'책을 되새김질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문재 시집 두 권 (0) | 2015.07.22 |
---|---|
밥 한 숟가락에 기대어 (0) | 2015.07.20 |
이정록 시집 두 권 (0) | 2015.07.13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0) | 2015.07.09 |
복자는 울지 않았다 (0) | 2015.07.02 |